본문 바로가기
꿀팁

"배터리 방전된 차" 급할 때 시동거는 꿀팁

by 꿀팁어부 2023. 11. 15.
반응형

"배터리 방전된 차" 급할 때 시동거는 꿀팁

안녕하세요 꿀팁어부입니다.

당신의 미소가 아름답네요 ^__^

요즘 날씨가 추워짐에 따라

배터리 방전이 발생합니다.
배터리 방전된 차 즉시 시동거는 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점퍼 케이블을 이용하는 방법

점퍼 케이블은
다른 차의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구입니다.
점퍼 케이블은 홈플러스와 같은
마트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점퍼 케이블을 이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해야 합니다.


    1). 도움을 줄 차를
배터리가 방전된 차 앞에
서로 마주 보게 주차합니다.
점퍼 케이블로 연결 될 만큼
가까운 거리에 세우면 됩니다.


    2). 두 차의 본 넷을 열고
두 차의 배터리 전압이
같은 지 확인합니다.
전압이 달라도 가능은 하지만,
권장하지는 않습니다.


    3). 배터리에 누수나
깨진 곳이 없는 지 확인합니다.


    4).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전에
시동, 라디오, 전조등, 미등이
꺼져 있는 지 확인합니다.


    5). 점퍼 케이블의 빨간색 집게를
방전된 배터리의 플러스 (+) 단자에 연결한 후
다른 쪽 빨간색 집게를
도움을 줄 차 배터리의 +단자에
연결합니다.


    6). 점퍼 케이블의 검은색 집게를
도움을 줄 차
배터리의 마이너스 (-) 단자에 연결한 후
다른 쪽 검은색 집게를
배터리가 방전된 차의 차체에
연결합니다.
샤시, 엔진 블럭과 같은 곳에
연결해 주면 되는데,
페인트, 오일이 뭍어 있거나,
녹슨 부분은 전류가 연결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되도록
깨끗한 차체 부분에 연결해 주면 됩니다.


    7). 다른 차의 시동을 건 후,
배터리가 방전된 차의
시동을 겁니다.
바로 시동이 안 걸린다면
약 5분 정도 기다려 본 후
한번만 더 시도합니다.


    8). 점퍼 케이블을 연결한

반대 순으로 제거해 줍니다.

 


2. 기어를 이용하는 방법

이 방법은 스틱 기어인 경우에만 가능하며,
오토 기어인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어를 이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해야 합니다.


    1). 기어를 2단에 놓고,
시동키를 START 바로 직전에 놓습니다.


    2). 운전석에 앉은 사람은 클러치를 밟고,
뒤에서 누가 밀어줍니다.
내리막을 내려가면서
속력이 약 20km/h 정도 되면
클러치를 급히 떼어줍니다.


    3). 시동이 걸리면 바로 가속을 해서
배터리를 충전합니다.

 


3. 기타 팁

점퍼 케이블이 없거나
다른 차의 도움을 받을 수 없는 경우는
112에 전화를 걸어
도움을 요청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경찰차가 와서 시동을 걸어준
경험을 한 분들이 있으니,
도움을 요청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또한, 배터리 방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배터리를 점검하고,
차량 사용 후에는 전조등이나
라디오를 꺼주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배터리 방전된 차 즉시 
시동거는 팁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