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난방비 아끼는" 방법(꿀팁)
반갑습니다.
유용한 정보를 낚아 올리는 '꿀팁어부' 입니다.^__^
겨울이 되면 추운 날씨에 따뜻하게 지내기 위해 보일러를 틀어야 하는데, 이 때문에 가스비가 많이 나오게 됩니다. 가스비는 난방 방식이나 온도 조절 방법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 난방 시스템을 잘 이해하고 적절하게 사용하면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개별난방과 지역난방의 차이점과 각각의 난방비 절약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개별난방과 지역난방의 차이점
개별난방은 각 세대 별로 보일러 등을 설치하여 난방을 하는 방식입니다. 연료비가 저렴한 도시가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지역난방에 비해 연료비가 저렴하며, 초기 건축비용이 많이 들지 않아 단독주택, 빌라 또는 지역난방을 공급하지 않는 곳에서 채택하는 방식입니다. 개별난방의 경우 컨트롤러를 이용해 온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지역난방은 단지나 건물별로 대형 열 공급설비를 통해 열을 제공하는 난방 방식입니다. 보일러실이 필요가 없어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고, 누출로 인한 사고 우려가 없는 것이 장점입니다. 지역난방은 열발전소로부터 온도가 정해진 채로 난방수가 공급되기 때문에 온도를 조절할 수 없고, 실내온도만 조절할 수 있습니다.
개별난방의 난방비 절약 방법
개별난방의 경우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통해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컨트롤러에는 실내온도, 온돌모드, 외출모드 등의 기능이 있습니다. 각각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실내온도 : 보일러에 설정한 온도가 도달하게 되면 작동이 중지되고 설정한 온도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계속해서 작동하게 되는 방식입니다. 문제는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컨트롤러 아래에 설치되어 있어 외부에 설치된 설비에 의해 온도가 영향을 받게 되어 있습니다. 주변의 여건에 따라 온도가 크게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온도에 영향을 주는 제품이 설치된 경우 난방비 폭탄 우려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온돌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온돌모드 : 보일러 내부에 설치된 온도 측정기를 통해 온수의 온도를 결정하고 바닥을 순환하기 때문에 컨트롤러 주변의 환경여건에 영향을 받지 않아 일정하게 난방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난방수의 온도는 최대 80~85도 설정이 가능하며 보통 10 ~ 15도 정도 낮추어 설정하면 합리적인 보일러 사용이 가능합니다. 컨트롤러 주변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경우에는 온돌모드 사용을 추천합니다.
외출모드 : 외출 시 보일러를 끄는 것보다 외출 모드가 난방비 절약에 더 좋습니다. 에어컨을 자주 껐다 켰다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일러도 약하게 틀어놓는 것이 더 비용절감에 좋습니다. 외출모드는 실내의 온도를 크게 떨어뜨리게 되어 재 난방 시 에너지 손실이 크므로 사용을 금지하고 평소대비 실내 온도 2~3도 낮추어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지역난방의 난방비 절약 방법
지역난방의 경우 온도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실내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내부 열손실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적용해 보세요.
실내온도 : 24시간 보일러를 가동하고 상황에 따라 온도를 21 ~ 22도 유지하게 되면 난방비가 적게 들며 절대 전원을 끄지 말 것을 권장합니다. 전원을 끄게 되면 실내온도가 급격히 떨어져 재 난방 시 에너지 손실이 크게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내부 열손실 : 집안의 대부분의 열은 창문을 통해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데, 단열기능이 우수한 창호를 설치하거나, 창에서 발생되는 외풍을 막기 위해 비닐을 붙이거나 틈을 막아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거실바닥에 러그나 매트를 깔아 바닥에서 올라온 열이 매트에 머무르게 되면서 열손실을 막아줄 수 있습니다.
분배기 조절 : 싱크대 바닥을 살펴보면 분배기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때 사용하지 않는 방은 잠그고 방문을 닫아 차가운 온도가 퍼지는 것을 막아 줍니다. 보일러가 가열하는 난방수 유량과 면적이 줄면서 난방비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단, 분배기의 방 밸브는 최소 2개 이상 열어두어야 하며, 강추위가 예상될 때는 동파예방을 위해 각 방의 밸브를 모두 열어 바닥에 난방수를 순환시켜야 합니다.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라이팬 기름때" 제거 꿀팁 5가지 (2) | 2023.11.21 |
---|---|
겨울철 "적정 차량 실내온도"와 "효율적인 배터리 관리" 꿀팁 (0) | 2023.11.17 |
겨울철 적정 실내 온도와 습도는 몇 도? (2) | 2023.11.16 |
"배터리 방전된 차" 급할 때 시동거는 꿀팁 (0) | 2023.11.15 |
딱딱한 "오징어 부드럽게" 만드는 꿀팁 (0) | 2023.11.15 |